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ithub
- HTML
- json
- jsp
- Linux_명령어정리
- SQL
- SQL_용어정리
- java
- vb.net
- MySQL
- JavaScript
- Linux
- spring
- 자바
- 인스턴스
- 아파치톰캣
- Git_정리
- Spring_에러정리
- 인덱스
- 이클립스
- Spring_오류정리
- Git_명령어정리
- asp.net
- 배열
- DML
- 자바스크립트
- 다이어그램
- CSS
- git
- workbench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52)
데브마우스
a 태그는 무엇인가요? a 태그는 HTML에서 다른 페이지나 동일 페이지의 특정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태그입니다. 아래는 코드 예제입니다. 링크 텍스트 a 태그 속성 및 속성 값 정리 속성 값 설명 href URL(https://devmouse.tistory.com) 링크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target _blank (새 창) _parent _top _self (현재 창) 클릭 했을 때 문서가 열릴 위치를 정합니다. _blank는 새 창에서 열립니다. type 미디어 타입 링크된 문서의 미디어 타입을 알려줍니다. 따로 작성된게 없다면 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download 파일 이름 클릭 시 해당 컨텐츠가 다운로드 되게 합니다.

다른 컴퓨터에서 만든 프로젝트 import로 가져오기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다른 사람이 만든 프로젝트를 자신의 컴퓨터에서 열어야할 때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3가지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환경: [Import] -> [General/Projects from Folder or Archive] [Import] -> [General/Existing Projects into Workspace] 1번 방법으로도 인식이 안될 때 사용하세요. [Import] -> [Web/War file] WAR(Web Application Archive) 파일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Import] -> [General/Projects from Folder or Archive] [Project Explorer]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CSS 선택자란 무엇인가요? CSS에서 원하는 스타일을 적용시키기 위해서, 요소를 선택해야합니다. CSS에서 요소를 선택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CSS를 잘다루는 사람 일수록 선택자를 잘 다뤄서 CSS의 코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습니다. CSS3 선택자 종류 사용 방법 설명 전체 선택자 * {속성 선언;} 모든 태그에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타입 선택자 태그 {속성 선언;} 지정한 태그에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클래스 선택자 .클래스 이름 {속성 선언;} 지정한 클래스에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아이디 선택자 #아이디 {속성 선언;} 지정한 아이디에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CSS3 복합 선택자-작성중 구분 조합 방법 설명 후손 선택자 선택자 A 선택자 B 선택자 B가 선택자 A에 반드시 포함되어..

코드 모두 접기 단축키: Ctrl + Shift + /(숫자 패드의 /입니다.) 프로그래밍 코드를 볼 때 접어놓고 보면 코드를 쉽고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클립스에서는 단축키롤 코드를 접을 수 있게 해줍니다. 코드 모두 펼치기 단축키: Ctrl + Shift + *(숫자 패드의 *입니다.) 프로그래밍 코드를 모두 접을 수 있다면 반대로 접어놓았던 모든 코드를 펼칠 수 있습니다. 코드 모두 접기나 펼치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코드를 접는것도 안되고 펼치는 것도 안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이클립스의 코드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누르세요. [Folding] -> [Enable Folding]을 클릭하여 단축키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드세요.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자기가 만든 코드가 아닌 남이 만든 코드를 봐야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당황하기 쉬운데요. 당황하지 마시고 일단 프로그래밍 코드의 변수에 어떤 값이 들어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이때 확인하는 방법은 보통 출력문을 사용합니다. 자바라면 System.out.println이 되겠네요. 프로그래밍을 요리에 비유하자면 변수는 재료입니다. 요리 재료 덕분에 다양한 음식이 조리되어 질 수 있습니다. 또한 함수는 조리 방법입니다. 조리 방법을 안다고 해도 재료가 무엇인지 모르면 어떤 요리가 나올지 알 수 없습니다. 이처럼, 모르는 코드를 만났을 때는 재료(변수)를 자세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MVC 패턴이란 무엇인가요? MVC는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로써 웹 애플리케이션을 비즈니스 로직, 프레젠테이션 로직, 데이터로 분리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실무에서 제일 많이 사용하는 '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패턴의 구성 요소 해당 요소 설명 Model DAO DB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DAO)와 비즈니스 로직을 담는 객체입니다. View HTML JSP 사용자에게 모델의 정보(데이터)를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Controller 흐름제어 모델과 뷰 사이에 어떤 동작이 있을 때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MVC 패턴의 구조 MVC 패턴의 구조와 요청 처리 흐름도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 1. 요청 → web.xml(전처리) 후 (서블릿) 컨트롤러 2. → 모델 (자바빈즈..
web.xml의 경로 작성중 주의사항 web.xml에서 경로를 잡을 때 주의해야할 점이 있습니다. 아래 예제 코드를 보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web.xml myController /module/ControllerServlet web.xml의 의 경우 슬래시(/)로 절대 경로를 잡는다고 해도 [http://localhost:8080/프로젝트이름/]까지의 경로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슬래시(/)이후는 http://localhost:8080/프로젝트이름/의 모든 하위 경로에 해당되며 이를 처리하는건 서블릿 클래스입니다. 이는 a 태그나 fom 태그의 action 속성과는 다른 작성법이라 많은 사람을 헷갈리게 만듭니다. a 태그나 form 태그에서는 슬래시(/)로 링크를 만들 경우 http://localhos..

이클립스에서 F3를 눌러서 메서드를 자세히 확인하던 중 실수로 F4를 눌렀습니다. 이클립스에서 F4를 누르니 Type Hierarchy라고 각 클래스들간의 상관 관계와 그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메서드들을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제가 실수로 F4를 눌렀던 코드는 아래의 getInstance()입니다. import java.util.Calenda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Calendar a = Calendar.getInstance(); } } Calendar 클래스는 모든 클래스들의 원형인 Object 클래스로부터 상속받고 있습니다. Calendar 클래스..
프로그래밍을 잘하는 방법으로 오류를 만드세요. 교재를 보면서 오타없이 코드를 완성시킨다해도 일부러 오타를 만들거나, 로직을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게 하여 오류를 만드세요. 오류를 만들면 무엇이 좋나요? 미래에 실수 하였을 때 해결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코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for를 활용하여 JavaScript의 객체에 접근하는 방법 JavaScript의 객체에 접근 하기 위해서는 하나한 수동으로 접근하거나 for를 활용하여 한 번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for를 활용하여 JavaScript의 객체에 접근하는 방법 분류 코드 예제 설명 for for(var i in obj) { // 코드실행 } 순차적으로 객체의 속성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for...in for(var i=0;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