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pring_오류정리
- HTML
- 자바스크립트
- 인덱스
- Spring_에러정리
- 자바
- 아파치톰캣
- Git_명령어정리
- java
- json
- DML
- workbench
- SQL_용어정리
- spring
- CSS
- 인스턴스
- Linux_명령어정리
- vb.net
- SQL
- jsp
- github
- Git_정리
- 다이어그램
- 이클립스
- JavaScript
- MySQL
- 배열
- git
- Linux
- asp.net
- Today
- Total
목록Git (28)
데브마우스
Github 사용자들을 보면 프로필 첫페이지에 다양하게 꾸미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간단한 자기소개를 적는 사람도 있고,방문자수를 확인하는 카운터를 넣는 사람도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어떻게 자기 프로필 첫 화면을 꾸미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기 계정 이름과 같은 리포지토리를 생성합니다.자기 계정 이름과 같은 리포지토리의 README.md 파일이 이제 프로필 첫 화면이 됩니다.이제 마크다운 문법을 활용하여 마음껏 꾸미실 수 있습니다.
에러 메시지warning: in the working copy of '{파일 이름}', LF will be replaced by CRLF the next time Git touches it 에러 메시지 설명git add .파일을 add 할 때 위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에러 메시지를 해석해보겠습니다.해당 파일의 개행(줄바꿈) 방식이 LF이며 다음에 Git이 해당 파일을 건드릴 때 CRLF로 변경될 것입니다. (의역) 파일의 개행 방식이 LF이지만 윈도우에서는 CRLF를 사용하는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윈도우를 제외한 다른 운영체제의 개행 방식윈도우를 제외한 다른 운영체제에서는 파일의 줄을 바꿀 때 LF 방식(\n)을 사용하지만 윈도우만 줄을 바꿀 때 CRLF 방식(\r\n)을 사용합니다. (심..
명령어 종류: grep 설명: 파일 내의 문자(열)을 찾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방법: -r은 recursive의 약자로 하위 디렉터리를 모두 탐색하라는 의미입니다. *는 현재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 및 디렉터리를 포함합니다. 그리하여 모든 하위 디렉터리를 탐색합니다. 사용 예제 grep '검색할_문자열' -r *

man 명령어란 무엇인가요? man은 manual의 약자로 매뉴얼(설명서)를 의미합니다. 리눅스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명령어의 설명서를 볼 수 있습니다. man [알고 싶은 명령어] 하지만 Git Bash에서는 man 명령어가 없습니다. 아래 처럼 man을 입력하여도 없는 명령어라고 출력됩니다. $ man pwd # OUTPUT: bash: man: command not found
Git의 switch 명령어 정리 git switch는 브랜치를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git switch의 코드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git switch [] [--no-guess] git switch [] --detach [] git switch [] (-c|-C) [] git switch [] --orphan 출처: Git/mingw64/share/doc/git-doc/git-switch.html
Git의 fetch 명령어란 무엇인가요? fetch란 찾다는 뜻입니다. git fetch 명령어는 원격 저장소(리포지터리)에 최신 커밋이 있는지 확인하는 키워드입니다. 확인만 할 뿐이며 최신 커밋을 다운로드 하지 않습니다. git fetch 명령어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git fetch [] [ […]] git fetch [] git fetch --multiple [] [( | )…] git fetch --all [] 출처: Git/mingw64/share/doc/git-doc/git-fetch.html
git pull 명령어 정리 git pull 명령어는 원격 저장소의 최신 정보와 파일 로컬 저장소로 가져옵니다. git fetch가 최신 정보만 받아와서 확인만 한다면 git pull은 최신 정보와 파일을 바로 가져옵니다. git pull 코드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git pull [] [ […]] 참고자료 Git/mingw64/share/doc/git-doc/git-pull.html
Git 로컬 작업 순서 정리 작업 순서 제목 설명 Step 1 Git 다운로드 git-scm.com Step 2 설치 Step 3 사용자 정보 입력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메일주소" Step 4 저장소 만들기(repository) 폴더 생성: hello-git cd 'Desktop'/hello-git Step 5 깃 초기화 git init Step 6 작업 트리에 파일 생성 hello.txt Step 7 스테이지 파일 올리기 git add hello.txt Step 8 커밋하기 git commit -m "메시지입력" Step 9 브랜치 생성하기 git branch 브랜치_이름 Step 10 브랜치 전환하기 g..

Git Hub에서 리포지터리(Repository)를 생성하였으나 이런 화면이 보일 수 있습니다. Git Hub에서 파일이나 브랜치를 생성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의도한건 아래 화면인데 말이지요. 어떻게 하면 처음 리포지터리를 생성할 때 부터 위와 같은 화면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정답은 Add a README file을 체크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Add a README file을 체크하고 리포지터리를 생성하시면 처음부터 브랜치나 파일을 GitHub을 통해서 생성하실 수 있습니다.
fetch로 원격 브랜치의 정보 가져오기 git pull 명령어는 원격 저장소의 최신 커밋을 내 컴퓨터에 합쳐주지만, 최신 커밋은 어떤지 정보만 확인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 git fetch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fetch는 불러오다, 가져오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협업 하는 방법 깃허브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협업하려면 아래과 같은 약속이 필요합니다. 브랜치 이름 작성 방법 파일명, 함수명 등의 레이블은 어떻게 작성할 것인지에 대한 규칙 이슈 관리는 어떻게 할 것인지 협업 시 풀 리퀘스트를 수락해야합니다. git hub에서 각자 브랜치를 나눠서 작업 후 push를 할 경우 풀 리퀘스트를 수락해야 코드가 반영됩니다. 풀 리퀘스트는 각자 푸시한 후 꼭 해야할 작업입니다. 풀 리퀘스트는 자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