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MySQL
- Linux_명령어정리
- Git_정리
- github
- Git_명령어정리
- Spring_오류정리
- 자바스크립트
- 인스턴스
- Spring_에러정리
- 인덱스
- git
- SQL
- 아파치톰캣
- 배열
- workbench
- SQL_용어정리
- json
- DML
- JavaScript
- CSS
- jsp
- java
- asp.net
- HTML
- 다이어그램
- spring
- 자바
- Linux
- 이클립스
- vb.net
Archives
- Today
- Total
데브마우스
[CSS]선택자 정리 본문
CSS 선택자란 무엇인가요?
CSS에서 원하는 스타일을 적용시키기 위해서, 요소를 선택해야합니다. CSS에서 요소를 선택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CSS를 잘다루는 사람 일수록 선택자를 잘 다뤄서 CSS의 코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습니다.
CSS3 선택자
| 종류 | 사용 방법 | 설명 |
| 전체 선택자 | * {속성 선언;} | 모든 태그에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
| 타입 선택자 | 태그 {속성 선언;} | 지정한 태그에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
| 클래스 선택자 | .클래스 이름 {속성 선언;} | 지정한 클래스에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
| 아이디 선택자 | #아이디 {속성 선언;} | 지정한 아이디에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
CSS3 복합 선택자-작성중
| 구분 | 조합 방법 | 설명 |
| 후손 선택자 | 선택자 A 선택자 B | 선택자 B가 선택자 A에 반드시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선택합니다. |
| 자손 선택자 | 선택자 A > 선택자 B | 부모 선택자 A의 직계 자손인 선택자 B를 선택합니다. |
| 인접 형제 선택자 | 선택자 A + 선택자 B | 선택자 A 바로 다음에 위치한 선택자 B를 선택합니다. |
| 일반 형제 선택자 | 선택자 A ~ 선택자 B | 선택자 A 뒤에 인접하여 나타나는 모든 선택자 B를 선택합니다. |
| 그룹 선택자 | 선택자 A, 선택자 B | 선택자 A와 선택자 B를 모두 선택합니다. |
후손이란 선택자 A의 모든 자식들을 말합니다.
CSS3 가상 선택자(의사 클래스)란 무엇인가요?
가상 선택자는 영어로 Pseudo-class로 MDN(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Glossary/Pseudo-class)에서는 의사 클래스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가상 선택자는 실제로 존재하는 요소는 아니고 특정한 상황에서만 나타나는 클래스지만 그런 클래스를 선택자로 선택하는 것입니다.
| 사용 방법 | 설명 | 사용 예 |
| :link 선택자 | 웹 문서에 사용자가 방문하지 않았던 곳을 표시합니다. | a:link { color:yellow; } |
| :visited 선택자 | 웹 문서에 사용자가 방문한 곳을 표시합니다. | a:visited {color:green;} |
| :active 선택자 | 웹 문서에서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하는 순간을 나타냅니다. | a:active {color:black;} |
| :hover 선택자 | 웹 문서에 사용자가 링크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리는 순간을 나타냅니다.특히 메뉴 바에 마우스를 올려서 세부 메뉴를 나타내는 방법에 많이 사용합니다. | a:hover {color:red;} |
| :focus | 해당 요소에 초점이 맞춰졌을 때 적용됩니다. 키보드의 Tab을 눌러서 초점을 맞춰 보시면 동작합니다. | a:focus{color:pink;} |
| 선택자 | 설명 |
| E::after |
요소의 내용 뒤에 가상 요소를 생성하고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
| E::before |
요소의 내용 앞에 가상 요소를 생성하고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
| E:checked |
라디오 버튼이나 체크박스 등에서 선택된 상태의 요소를 선택합니다.
|
| E:disabled |
비활성화된 상태의 요소를 선택합니다.
|
| E:empty |
내용이 없는 요소를 선택합니다.
|
| E:enabled |
활성화된 상태의 요소를 선택합니다.
|
| E:first-child |
부모 요소의 첫 번째 자식 요소를 선택합니다.
|
| E:last-child |
부모 요소의 마지막 자식 요소를 선택합니다.
|
| E:not(selector) |
주어진 선택자와 일치하지 않는 요소를 선택합니다.
|
| E:nth-child(n) |
부모 요소의 n번째 자식 요소를 선택합니다.
|
| E:nth-last-child(n) |
부모 요소의 끝에서부터 n번째 자식 요소를 선택합니다.
|
| E:nth-of-type(n) |
부모 요소의 특정 유형에서 n번째 자식 요소를 선택합니다.
|
| E:nth-last-of-type(n) |
부모 요소의 특정 유형에서 끝에서부터 n번째 자식 요소를 선택합니다.
|
| E:only-child |
부모 요소의 유일한 자식 요소를 선택합니다.
|
| E:only-of-type |
부모 요소에서 유일한 특정 유형의 자식 요소를 선택합니다.
|
| :root |
문서 트리의 최상위 요소(E)를 선택합니다.
|
| E:target |
URL의 fragment 식별자와 일치하는 요소를 선택합니다.
|
속성 선택자
속성 선택자는 해당 요소가 특정한 속성을 가지고 있을 때만 선택하는 선택자입니다.
h1[test] { color:red}
같은 코드가 있을 경우 h1 태그이면서 h1 태그 안에 속성으로 test가 있는 요소만 글자 색깔이 빨간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속성이기만 하면 되기에 이를 응용하여 disabled 혹은 required같은 속성을 지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CSS > CSS: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SS] CSS의 단위 정리 (0) | 2023.12.15 |
|---|---|
| [CSS]CSS 상속 정리 (0) | 2023.12.14 |
| [CSS]CSS 개요 정리 (0) | 2023.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