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다이어그램
- Git_명령어정리
- 인덱스
- 자바
- JavaScript
- jsp
- 자바스크립트
- 이클립스
- spring
- vb.net
- 아파치톰캣
- git
- CSS
- Spring_에러정리
- SQL_용어정리
- Linux_명령어정리
- 인스턴스
- Linux
- Git_정리
- github
- DML
- asp.net
- SQL
- json
- java
- Spring_오류정리
- HTML
- workbench
- MySQL
- 배열
- Today
- Total
목록jsp (25)
데브마우스
내장 객체란 무엇인가요? 내장 객체(Implicit Object)는 JSP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JSP 컨테이너(톰캣)에 미리 정의된 다양한 객체들입니다. 어떻게 내장 객체를 사용하나요? JSP 페이지가 서블릿 프로그램으로 번역될 때 JSP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내장 객체를 멤버 변수, 메소드 매개변수 등의 각종 참조 변수(객체)로 포함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JSP 페이지에 별도의 import문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내장 객체의 종류는 어떤게 있나요? 내장 객체의 종류 내장 객체 이름 반환 유형 설명 reques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웹 브라우저의 HTTP 요청 정보를 저장합니다. response javax.servlet.http.HttpS..
자바빈즈란 무엇인가요? 자바빈즈는 동적 콘텐츠 개발을 위해 자바 코드를 사용하여 자바 클래스로 로직을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웹 브라우저 1. 요청 → .JSP 파일 2 ↔ 자바빈즈 3 ↔ 데이터 베이스 ← 4.응답 웹 브라우저가 JSP를 요청할 때 자바빈즈의 작동 흐름은 아래와 같습니다. 웹 브라우저가 JSP에게 페이지 요청을 전송합니다. JSP 페이지와 자바빈즈가 통신합니다. 자바빈즈가 DB에 연결됩니다. JSP 페이지가 웹 브라우저에 응답하게 됩니다. 자바빈즈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자바빈즈는 데이터 표현이 목적인 자바 클래스이며 기존의 자바 클래스를 작성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작성합니다. 자바빈즈의 작성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바 클래스는 java.io.Serializ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im..
param 액션 태그란 무엇인가요? param 액션 태그는 현재 JSP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에 정보를 전달하는 태그(파라미터)입니다. 이 태그는 단독으로 사용되지 못하며 나 태그의 내부에 사용됩니다. 다른 페이지에 여러 개의 정보를 전송해야 할 때는 다중의 param 액션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aram 액션 태그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다른 페이지로 파라미터를 전달하기 위해서입니다. param 액션 태그는 어떻게 작성하나요? 하지만 param 액션 태그로 파라미터를 전달했다고 끝이 아닙니다. 다음 이동 페이지에서 파라미터를 받을 수 있게 request.getParameter("파라미터"); 라는 request 내장 객체와 메서드를 활용하여 파라미터를 받을 수 있게 하여야합니다.

어떤 에러인가요? HTTP 상태 404 – 찾을 수 없음 타입 상태 보고 설명 Origin 서버가 대상 리소스를 위한 현재의 representation을 찾지 못했거나, 그것이 존재하는지를 밝히려 하지 않습니다. Apache Tomcat/9.0.83 왜 이 에러가 발생했나요? webapp/WEB-INF 폴더 안에 실행하고자 하는 JSP 파일이 있었습니다. WEB-INF에서 JSP 파일을 실행시키자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어떻게 해결하나요? 파일의 경로 문제를 해결하셔야 합니다. webapp/WEB-INF 폴더에 있는 JSP 파일을 webapp으로 이동합니다.
include 액션 태그와 include 디렉티브 태그 얼핏보면 include 액션 태그와 디렉티브 태그 모두 다른 페이지를 포함하여 .jsp 페이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비슷해보이지만 내부 작동 원리가 다릅니다. include 디렉티브 태그는 다른 페이지의 내용이 텍스트로 포함되지만, inclde 액션 태그는 다른 페이지의 처리 결과 내용을 포함합니다. include 액션 태그 include 디렉티브 태그 코드 양식 자원 처리 특징 요청 시 자원을 포함합니다. 번역 시 자원을 포함합니다. 기능 별도의 파일로 요청 처리 흐름을 이동합니다. 현재 페이지에 삽입합니다. 데이터 전달 방법 및 특징 request 기본 내장 객체나 param 액션 태그를 이용하여 파라미터를 전달합니다. 페이지 내의 변수를 선언한..
include 액션 태그가 뭔가요? include 액션 태그는 include 디렉티브와 비슷하게 현재 JSP 페이지의 특정 영역에 외부 파일의 내용을 포함하는 태그입니다. flush 값은 true와 false 중 어떤게 좋나요? flush값의 기본값은 false이며 false를 권장합니다. true로 설정 해야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즉시 결과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어떤 이벤트나 상태에 따라 즉시 클라이언트에게 결과를 보내야 할 때. 부분적인 결과를 표시하는 경우: 버퍼를 플러시하지 않으면 페이지 전체가 완료될 때까지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nclude 액션 태그의 처리 과정 one.jsp입니다. one.jsp입니다. two.jsp입니다.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로 one.jsp를 ..
forward 액션 태그는 무엇인가요? forward 액션 태그는 액션 태그 중 하나로써 현재 JSP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흐름을 제어합니다. 특징으로는 forward 액션 태그를 만나게 되면 그 전까지 출력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내용을 모두 삭제하고 forward 액션 태그에 설정된 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forward 액션 태그 설명 예제 코드 1 싱글 태그로 작성한 forward 액션 태그 입니다. 예전에는 싱글 태그로 작성할 수 없었습니다. 예제 코드 2 페어 태그(Pair taag)로 작성된 forward 액션 태그입니다. forward 액션 태그의 처리 흐름 과정 웹 브라우저에서 one.jsp 파일을 요청합니다. JSP 컨테이너는 요청된 one.jsp 파일을 실행합니다. one..
JSP의 액션 태그란 무엇인가요? JSP의 액션 태그는 서버나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action을 하도록 하는) 태그입니다. 그럼 어떤 행동이 있을까요? JSP 페이지와 다른 JSP 페이지 사이를 제어하거나, 페이지의 실행 결과 내용을 현재 페이지에 포함시키거나, 자바 빈즈(JavaBeans, 객체 생성)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액션 태그는 스크립트 태그()와 다르게 같은 XML 형식을 사용하며 액션 태그는 끝날 때 반드시 슬래시 />를 작성해줘야합니다. 주요 액션 태그 정리 액션 태그 코드 작성 방법 설명 forward 다른 페이지로 이동을 하는 페이지 흐름을 제어합니다. include 외부 페이지의 내용을 포함하거나 페이지를 모듈화합니다. 주로 헤더나 푸터를 모듈화하여 한 번의 ..
taglib 디렉티브 태그란 무엇인가요? taglib 디렉티브 태그는 현재 JSP 페이지에서 JSTL같은 태그 라이브러리를 설정하는 태그입니다. 태그식별자 자리에 올 수 있는 태그 라이브러리들은 Core 태그, JSTL, SQL 등이 있습니다. 경로는 태그에 따라 다르지만 Core 태그, JSTL 태그는 http://java.sun.com/jsp/jstl/core 를 작성합니다.
웹 서버, 웹 컨테이너,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차이점 분류 웹 서버 (아파치) 웹 컨테이너 (톰캣)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아파치 + 톰캣) 기본 기능 정적 파일 제공, 요청 전달 서블릿 실행 및 관리 정적/동적 콘텐츠 제공, 비즈니스 로직 처리 프로토콜 지원 HTTP, HTTPS HTTP, HTTPS 다양한 프로토콜 지원 (HTTP, HTTPS, JMS 등) 동적 컨텐츠 처리 제한적 (주로 정적 컨텐츠) 가능 가능 서블릿 컨테이너 기능 없음 포함됨 포함됨 서블릿 컨테이너 외 기술 지원 제한적 JSP, Servlet 등 EJB, JMS, JNDI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