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Linux
- workbench
- json
- HTML
- asp.net
- Git_정리
- 배열
- Git_명령어정리
- SQL_용어정리
- JavaScript
- java
- 다이어그램
- vb.net
- 인스턴스
- 자바스크립트
- MySQL
- 이클립스
- Spring_오류정리
- Spring_에러정리
- github
- CSS
- 아파치톰캣
- jsp
- spring
- DML
- git
- 자바
- Linux_명령어정리
- 인덱스
- SQL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52)
데브마우스
https://www.tiobe.com/tiobe-index/ TIOBE Index - TIOBE Home » TIOBE Index TIOBE Index for January 2024 January Headline: C# is programming language of the year 2023!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he TIOBE index, C# has won the programming language of the year award. Congratulations! C# has been a top www.tiobe.com TIOBE 프로그래밍 언어 순위를 보는 사이트입니다. 순위 결정 방법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www.tiob..
SQL의 제약조건(Constraint)란 무엇인가요? 제약조건(Constraint)은 데이터의 무결성(데이터에 결함 없음)을 지키기 위해 거는 제한조건입니다. 예를 들어 회원 ID 처럼 데이터베이스에서 중복되면 안되는 컬럼이 있습니다. 만약 회원 ID가 중복되어있다면 이건 데이터의 결함이고 반대로 회원 ID가 중복되지 않는다면 결함이 없으므로 데이터의 무결성이라고 할 수 있ㅅ브니다. 기본 키 제약조건(Primary Key Constraint)란 무엇인가요? 기본 키(Primary Key) 제약조건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테이블의 행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열(또는 열의 조합)에 대한 제약입니다. 기본 키 제약조건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UNIQUE(고유키) NOT NULL(NULL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동적 SQL문이란 무엇인가요? 동적 SQL문이란 미리 SQL 문을 준비한 후에 필요할 때 실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EPARE로 SQL 문을 준비합니다. EXECUTE로 준비한 SQL 문을 실행합니다. 주의할 점으로, 실행 후에는 DEALLOCATE PREPARE로 SQL 문을 해제하셔야합니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PREPARE 구문으로 실행할 SQL 문을 준비합니다. EXECUTE 구문으로 준비한 SQL 문을 실행합니다. 실행 후 DEALLOCATE PREPARE 구문으로 SQL 문을 해제시켜줍니다. 물음표(?)를 사용하지 않는 동적 SQL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PREPARE 동적SQL_이름 FROM '실행할 SQL 구문'; EXECUTE 동적SQL_이름; DEALLOCATE..
SQL의 일대다 관계(One to many) 용어 정리 SQL에서 일대다 관계는 두 테이블이 조인할 경우 한쪽 테이블에는 하나의 값만 존재해야 하며(PK 혹은 UNIQUE), 연결된 다른 테이블에는 여러 개의 값이 존재할 수 있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보통 기본 키(PK)와 외래 키(FK)관계로 맺어져 있어서 'PK-FK 관계'로 불리기도 합니다.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회원(1)만 구매 가능한 쇼핑몰 사이트(N): 회원은 쇼핑몰 사이트에서 여러가지 물건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선생님(1)과 학생들(N): 한 반의 한 선생님은 여러 학생들의 선생님입니다.
SQL의 형 변환(Type Conversion) 용어 정리 SQL에서 문자형, 정수형 등의 데이터 형식을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함수를 사용하여 형 변환하는 명시적 변환(Explicit Conversion)과 별도의 함수 없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암시적 변환(Implicit Conversion)이 있습니다. 명시적 변환의 함수에는 CAST()와 CONVERT()등이 있습니다. CAST()와 CONVERT() 함수의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CAST()에 'AS'가 들어가며 CONVERT()에는 반점(,)이 들어갑니다. CAST (값 AS 데이터_형식 [ (길이) ] ) CONVERT (값, 데이터_형식 [ (길이) ] )
SQL의 연산자: 관계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 용어 정리 SQL의 관계 연산자(Relational Operator)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의 관계 연산자처럼 숫자들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 =, = 등이 있으며 주의할 점으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양(兩) 항의 값이 같다는 의미로 ==를 작성하나 SQL에서는 =라는 등호 기호 하나만 작성합니다. SQL의 논리 연산자(Logic Operator)는 WHERE 조건절에서 2가지 이상의 조건을 만든 뒤 AND 연산이나 OR 연산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ND 연산일 경우 양(兩) 항 모두 조건을 만족해야합니다. OR 연산일 경우 양(兩) 항 중 하나의 조건만 만족해도 됩니다.
NULL과 NOT NULL 정리 NULL은 "값이 존재 하지 않는다" 라는 뜻입니다. NOT NULL은 테이블을 생성 할 때 사용되며 컬럼의 NULL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뜻입니다. NULL인 컬럼만 찾고 싶을 때는 아래 SQL문을 사용합니다. SELECT * FROM 테이블_이름 WHERE 컬럼_이름 IS NULL;
예약어(Reserved Word) 용어 정리 SQL에서 미리 SQl 구문으로 사용되기로 약속한 단어들입니다. SELECT, WHERE, INSERT 등이 있으며 이러한 단어들은 MySQL Workbench에서 글자 색깔이 파란색으로 출력됩니다. 이러한 예약어를 사용해서 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단 MEBER는 예약어임에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MySQL 8.0.17에 추가되었을 때는 예약어였으나 8.0.19에서는 예약어에서 해제되었습니다.
스키마(Schema) 용어 정리 MySQL에서는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MySQL Workbench에서 스키마를 생성하는 것은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기능을 수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