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CSS
- Git_정리
- Linux
- SQL
- github
- 인스턴스
- git
- HTML
- workbench
- SQL_용어정리
- json
- 자바스크립트
- Spring_에러정리
- 아파치톰캣
- 인덱스
- Linux_명령어정리
- Git_명령어정리
- spring
- jsp
- 다이어그램
- Spring_오류정리
- asp.net
- JavaScript
- MySQL
- 자바
- 이클립스
- vb.net
- java
- 배열
- DML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52)
데브마우스
@RequestMapping이 무엇인가요? @RequestMapping은 웹에 접속한 사용자의 요청을 어떻게 처리할지 매핑(연결)하는 annotation입니다. 또한 @RequestMapping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을 import 하셔야 합니다. 클래스에 @RequestMapping 적용하는 방법 클래스위에 @RequestMapping을 작성합니다. 클래스 위에 @RequestMapping이 적용됩니다. 그뒤에 메서드에 적용된 어노테이션이 적용됩니다. 메서드에 @RequestMapping 적용하는 방법 메서드 위에 @RequestMapping을 작성합니다. @RequestMapping 작성 방법 @RequestMapping(value=..
servlet-context.xml에서 태그에 패키지 이름을 등록하면 해당되는 패키지들에 @Controller 컴포넌트가 작성되어 있다면 자동으로 Bean 객체를 생성합니다. 반대로 자동으로 Bean 객체를 생성한다면 수동 생성도 가능합니다. Bean 객체 자동 생성 코드 형식
컨트롤러(@Controller)란 무엇인가요? 컨트롤러 Annotation은 일반적인 자바 클래스가 아닌, 웹 브라우저에서 들어온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메서드를 가진 특정한 자바 클래스입니다. 또한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를 import 해줘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MVC의 컨트롤러는 무엇을 하나요? 스프링 MVC에서 사용자 요청(URL 이동)을 받으면 가장 먼저 디스패처 서블릿에 전달합니다. 디스패처 서블릿은 핸들러 매핑으로써 요청을 전달받는 역할만 합니다. 실제로는 컨트롤러(Controller)가 요청을 처리합니다. 디스패처 서블릿과 컨트롤러의 클라이언트 요청 처리 과정 실제 처리 컨트롤러 (자바 파일) ↗ WelcomeCont..
스프링 웹 애플리케이션의 계층적 구조란 무엇인가요? 계층적 구조는 관심사를 분리하여 스프링 MVC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계층형식의 구조입니다. 스프링 MVC 애플리케이션의 계층적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자료입니다. 프레젠테이션 계층 도메인 객체(DTO) 웹 브라우저 ─요청→ View ↘ Model ↔ ←응답─ Controlelr ↗ ↕ 서비스(비즈니스) 계층 (모델에 해당) ↔ ↕ 퍼시스턴스(DAO) 계층 (모델에 해당) ↔ ↕ 데이터베이스 이름 설명 도메인 객체 (Domain Object) 데이터 모델로써 객체의 정보를 저장합니다. DTO(Data Transfer Object), DO(Data Object), VO(View Object)등 다양하게 불립니다. 퍼시스턴스 계층 (Persistence..
Spring에서 @GetMapping을 사용할 수 없을 때 해결 방법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GetMapping을 사용할 수 없을 때가 있습니다. 자동 완성을 시도해도 인식을 못하며 직접 작성하여도 인식을 못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제가 추천하는 해결 방법은 pom.xml에서 스프링 프레임워크 버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GetMapping의 최소 사용 가능한 스프링 프레임워크 버전은 4.3이기 때문입니다. 아래 코드처럼 pom.xml의 을 확인해보세요. 4.3미만이라면 @GetMapping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버전을 변경하시고 Alt + F5를 누르셔서 Maven Project를 업데이트 해보세요. 17 5.3.19 1.6.10 1.6.6 참고자료: 스프링 프레임워크 공식 문서입니다. h..
Spring의 POJO란 무엇인가요? POJO란 Plain Old Java Object의 약자로써 일반 자바 클래스 파일을 의미합니다. 스프링에서 스프링의 특징을 강조하면서 POJO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왜냐하면 스프링 이전에 사용했던 JSP에서는 동적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HttpServlet을 상속해서 사용했습니다. 그래서 자바 클래스 코드가 HttpServlet에 의존적인 형태를 띠곤 했지만 스프링에서는 POJO를 사용하여 단순한 자바 객체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결론적으로 POJO 덕분에 특정 프레임워크나 규약에 종속되지 않습니다. 아래는 POJO가 아니며 HttpServlet을 상속해서 사용하는 자바 코드 파일입니다. @WebServlet("*.do") public class ..
HTTP 500 에러와 '서블릿 [appServlet]을(를) 위한 Servlet.init() 호출이 예외를 발생시켰습니다.' 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스프링에서 웹 개발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위와 같은 오류 페이지를 만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경우 근본 원인(root cause)의 밑줄을 복사해서 인터넷에 검색 해보시길 추천합니다. 저 같은 경우 스프링 버전과 메이븐 라이브러리가 충돌하고 있었습니다. 충돌중인 라이브러리를 주석 처리하니까 서버가 잘 작동했습니다.
스프링에서 서버를 실행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으나, 이전 프로젝트의 웹 주소가 나타나는 등 원래 프로젝트 이름과 다르게 나타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해결 방법을 안내하겠습니다. 1. [Properties] -> [Web Project Settings] 설정 변경 스프링 프로젝트의 이름은 chap05인데 이전 프로젝트의 이름이 웹 주소에 나타날 때가 있습니다. 이때 해결 방법입니다. URL에 원하는 프로젝트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렇게 수정하면 웹 주소는 변경이 됩니다.
man 명령어란 무엇인가요? man은 manual의 약자로 매뉴얼(설명서)를 의미합니다. 리눅스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명령어의 설명서를 볼 수 있습니다. man [알고 싶은 명령어] 하지만 Git Bash에서는 man 명령어가 없습니다. 아래 처럼 man을 입력하여도 없는 명령어라고 출력됩니다. $ man pwd # OUTPUT: bash: man: command not found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웹 개발 시 필요한 의존성 라이브러리를 추가하고 인터넷으로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게 할 수 있습니다. 작업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mvnrepository.com/ 에 접속합니다. 추가하고자 하는 라이브러리를 검색합니다. 버전 클릭시 해당 의존성 라이브러리의 상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servlet-context.xml 파일의 태그 안에 작성합니다. 작성 후, 이클립스 기준 Alt + F5를 눌러서 Maven Project를 업데이트하면 의존성 라이브러리 적용이 완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