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데브마우스

[SQL:용어정리] 제약조건(기본 키, 외래 키, 고유 키, 체크) 용어 정리 본문

데이터베이스/SQL: 용어 정리

[SQL:용어정리] 제약조건(기본 키, 외래 키, 고유 키, 체크) 용어 정리

데브마우스 2024. 1. 7. 22:18

SQL의 제약조건(Constraint)란 무엇인가요?

제약조건(Constraint)은 데이터의 무결성(데이터에 결함 없음)을 지키기 위해 거는 제한조건입니다. 예를 들어 회원 ID 처럼 데이터베이스에서 중복되면 안되는 컬럼이 있습니다. 만약 회원 ID가 중복되어있다면 이건 데이터의 결함이고 반대로 회원 ID가 중복되지 않는다면 결함이 없으므로 데이터의 무결성이라고 할 수 있ㅅ브니다.

 

기본 키 제약조건(Primary Key Constraint)란 무엇인가요?

기본 키(Primary Key) 제약조건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테이블의 행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열(또는 열의 조합)에 대한 제약입니다.

기본 키 제약조건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 UNIQUE(고유키)
  • NOT NULL(NULL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 클러스터형 인덱스 생성

외래 키 제약조건(Foreign Key Constraint)란 무엇인가요?

외래 키(Foreign Key) 제약조건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두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유지하기 위한 제약조건입니다. 그 결과,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외래 키 제약조건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참조 무결성

외래 키 제약조건 코드 작성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FOREIGN KEY (column_name) REFERENCES table_name(the_table's_column_name);

고유 키 제약조건(Unique Constraint)란 무엇인가요?

고유 키(Unique) 제약조건은 해당 열의 데이터의 값이 고유하다는 제약조건입니다.

고유 키 제약조건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 UNIQUE(고유 키):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값을 가져야합니다.
  • NULL 허용: PK와 다르게 NULL을 허용하며 NULL이 여러개 있어도 허용합니다.